#AmazonNova#Simplexity 3줄 요약✅
1. AWS re:Invent 2024_AI updates
2. Simplexity: 단순함을 넘어선 설계
3. 클라우드 비용 관리, 스마트하게 하자
|
|
|
2024년이 2주밖에 안 남은 지금, 연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올해 열린 AWS re:Invent는 어느 때보다 핵심 서비스와 설계 철학에 집중하였어요.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AI를 중심으로 한 주요 키노트에서는 DynamoDB DSQL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가 주목받았습니다.
또한,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Simplexity)하려는 AWS의 방향성과 셀 기반 아키텍처 등 설계 트렌드가 소개되며 개발자들에게 실질적 가이드를 제시했습니다. 이번 re:Invent는 단순한 서비스 발표를 넘어 사용자 경험 개선과 핵심 기능 강화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며 클라우드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
|
|
AI Update
Amazon Nova & Bedrock Update |
|
|
이미지 출처: AWS Bedrock
AWS Bedrock Update
자동 유효성 검사 기능 및 멀티 에이전트 조합 기능 출시
기존 Bedrock의 경우 프롬프트의 결과를 사람이 전부 확인하여, 환각 현상(hallucination)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이번 리인벤트에서는 신규 기능을 출시하여, 프롬프트에 대한 결과를 자동으로 유효성 체크를 하여 유효하지 않을 경우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재요청하여 환각 현상을 최소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 외 에이전트 구성이 어려운 고객사를 위해 예시로 제공하는 에이전트들을 여러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 에이전트 조합 기능도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Prompt Caching(preview)
Amazon Bedrock의 새로운 기능인 "prompt caching"은 자주 사용되는 프롬프트 응답을 캐싱하여 모델에 대한 요청 횟수를 줄이고 비용을 최대 90%, 대기 시간을 최대 85% 줄입니다. 각 액세스 후 최대 5분 동안 유효하며, 현재는 특정 모델과 리전에서 미리 보기 제공됩니다.
Data Automation
Amazon Bedrock Data Automation은 비정형 데이터에서 가치 있는 통찰력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완전 관리형 기능입니다. 문서 처리(IDP), 미디어 분석, 검색 확장 생성(RAG) 워크플로우를 빠르고 비용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Amazon Nova⚡
이번 리인벤트에서 가장 화제는 AWS가 출시한 자체 FM Amazon Nova입니다. 현재 Amazon Prime 라이브 중계에도 사용중 이라고 밝혔습니다.😊
- Nova Reel: 동영상 생성 모델로, 자연 언어 프롬프트와 이미지에서 최대 9초의 짧은 고화질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영어 지원)
- Nova Pro: Multi-model 이해의 기반 모델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를 입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 지원이 가능하며, 정확성, 속도, 비용 측면에서 최상의 조합을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 Nova Lite: 가성비가 좋 Multi-model 이해 기반 모델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입력을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 Nova Micro: text-to-text 모델로, 다국어를 지원하며 텍스트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 Nova Canvas: 가성비가 뛰어난 Multi-model 이해 기반 모델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입력을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장기적 플랜
AWS는 앞으로 speech-to-speech/any-to-any(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기능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언제 출시 될지 기대되네요.
|
|
|
이미지 출처: AWS
AWS CTO Dr. Werner Vogels의 키노트의 키워드는 '단순성(Simplexity)' 입니다. 시스템 제어를 마스터하기 위한 기초로서 단순성(simplexity)과 복잡성(complexity)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AWS CTO는 "복잡성은 생성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단지 이동할 뿐"이라고 말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시스템 안정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복잡성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특정 부분에 집중시켜 관리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 성장하고 변화할 때마다 단순성을 유지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기술적 필수 요소일 뿐만 아니라 조직이 강력하고 확장 가능하며 효율적인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적 이점이 됩니다.
1. 복잡성과 단순성의 균형 맞추기
S3처럼 단순해 보이는 서비스도 내재된 복잡성을 관리해야 합니다. AWS CTO는 처음부터 진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스템이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서 AWS의 셀 기반 아키텍처(Cell-Based Architecture)도 단순성과 복잡성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로 언급되었습니다. 여기서 셀은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각 부분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 장애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소규모의 자율적인 팀 결성_two-pizza team🍕
AWS CTO는 “두 개의 피자를 먹을 수 있을 만큼 작은 팀” 개념이 AWS의 혁신과 효율성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AWS는 소규모의 독립적인 팀을 중심으로 조직을 구성하여 민첩한 의사 결정과 확장 가능한 기술 개발을 추진할 수 있었습니다.
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및 데이터 관리AWS는 성장과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monolitic system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했습니다. 이러한 전환과 함께 DynamoDB 및 추상화 계층과 같은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원활하게 확장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CloudWatch는 초기에는 단순한 시스템이었지만, 점차 복잡성이 증가하자 유연성과 관리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을 여러 작은 서비스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각 구성 요소를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복잡성을 줄이고, 변화하는 요구 사항에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4. 의도적인 복잡성과 그 이점
의도적인 복잡성(Intentional complexity)은 시스템의 확장성과 고객 요구 충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S3는 처음에는 6개의 마이크로서비스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300개가 넘는 마이크로서비스로 확장되면서도 높은 안정성과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한 기능에서 시작한 시스템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점차 기능이 추가되고 복잡해졌지만, 초기 설계에서 불필요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시스템 유연성을 우선시한 결정 덕분에 이러한 확장이 가능했습니다. 이러한 설계 철학은 장기적인 안정성과 혁신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5. 지속 가능성 및 미래 주도 혁신AWS는 기술 외에도 UN의 2050 의제와 같은 글로벌 목표에 맞춰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우선시합니다. AWS CTO는 기술과 협업을 통해 신생 기업을 지원하고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리인벤트 세부 컨텐츠가 궁금한 고객은 찾아가는 세미나를 제공 하니
|
|
|
클라우드 비용 관리, 쉽지 않으시죠?
n•Xavis 3.0는 NDS에서 고객님의 편의를 위해 자체개발한 통합 AWS 빌링 시스템입니다. 각 서비스 사용량 관리부터 일자별 사용량까지 세세한 금액등이 다 확인 가능한데요.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
|
#클라우드 뉴스
우주항공청은 디지털플랫폼정부(DPG)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일부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DPG 허브와 연계해 행정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우주항공청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중요 정보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구축하되, 일반 업무에는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절충안을 채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우주항공청은 보안 강화를 위해 제로트러스트와 N²SF 같은 신보안체계를 적용하며, 목표 모델 설계와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을 추진할 방침이다.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폭발적 성장세를 보이며, 2030년까지 2조 달러(약 267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생성형 AI가 클라우드 지출의 주요 동력으로 부상하며, 디지털 혁신과 기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와 SaaS 중심의 협업 도구 도입이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멀티 클라우드 전략, 보안 투자, 클라우드 전문 인력 양성이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어떠셧나요?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피드백은 큰 도움이 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