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AI 안녕하세요! 새로운 기술과 흐름을 따라잡기에도 벅찬 요즘,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지금 주목받고 있는 ‘음성 기반 GenAI 모델’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텍스트 대신 ‘말’로 대화하는 인공지능—어디까지 진화했을까요?
📎3줄 요약
1. 음성 AI에 대해 알아보자
2. Voice Agent를 넘어서
3. World IT Show 2025 - 4/24-4/26 코엑스
|
|
|
AI 인터페이스, 텍스트 --> 음성으로
챗봇과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는 그동안 GenAI의 주요 접점이었지만, 여전히 ‘입력 장벽’이라는 사용자 경험의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된 Amazon Nova Sonic과 같은 모델들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으며,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가 일상과 비즈니스 환경 전반에서 실질적인 전환점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왜 음성이 주목받고 있을까요?👀
사람은 보통 텍스트를 타이핑하는 것보다 약 3배 빠르게 말할 수 있으며, 손과 눈을 동시에 점유하지 않아 다양한 환경에서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응답과 피드백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음성이 단순한 입력 수단을 넘어, 더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사용자 흐름을 가능하게 합니다. |
|
|
☁️Amazon Nova Sonic vs different model
STT, NLU, TTS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Amazon Nova Sonic은 응답 속도와 자연스러움을 모두 갖춘 최초의 통합형 Speech-to-Speech 모델입니다. GPT-4o나 Gemini Voice보다 빠른 응답 속도(평균 1.09초)를 기록하며, 감정 기반 응답, 문맥 이해, turn-taking 등 사람과의 대화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Voice Agent를 넘어, 다양한 산업에서 확장 중
콜센터 외에도 회의 기록 자동화, 세일즈 문서화, AI 튜터, 물류 음성 명령, 사내 메모 자동화 등 STT 기반 서비스는 다양한 워크플로우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MSP 입장에서는 이를 고객의 업무 흐름에 자연스럽게 녹여낼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시점입니다.
|
|
|
✨ NDS와 함께하는 World IT Show 2025
디지털 전환의 흐름 속, NDS가 선보이는 클라우드 혁신을 직접 만나보세요!
오는 4월 24일(목)부터 26일(토)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대표 ICT 전시회 WORLD IT SHOW 2025에 NDS가 참가합니다.
AI, 빅데이터, 보안 등 다양한 산업군의 클라우드 적용 사례부터,
고객 맞춤형 마이그레이션 컨설팅까지! 실제 고객 성공 사례 중심으로 준비한 NDS 부스를 방문해 클라우드의 미래를
경험해보세요.
📍일정: 2025년 4월 24일(목) ~ 26일(토) 📍위치: 코엑스 1층 A홀, 부스 AE121
🚀 클라우드 도입을 고민 중이시라면?
아래 버튼을 눌러 사전등록 등록하시고, 부스 방문하세요
|
|
|
생성형 AI의 내재화가 본격화되면서 기업들의 클라우드 인프라 전략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초기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으로 AI를 도입했지만, 보안·프라이버시 이슈와 도메인 특화 요구로 인해 프라이빗 클라우드나 온프레미스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금융, 공공, 제조 등 규제 산업에서는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로 넘기기 어려워 자체 인프라에서 AI를 운영하려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주요 인프라 기업들도 이에 맞춘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델, HPE, IBM은 프라이빗 환경에서의 AI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네이버클라우드와 NHN클라우드도 완전관리형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전략을 전개 중이다. 이는 단순한 레거시 회귀가 아닌, AI 최적화를 위한 복합적 인프라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4년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2023년 기준 7조 3959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26.6% 성장했지만, '보안 우려'가 시장 확대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떠올랐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49.6%가 보안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으며, 대기업의 경우 이 비율이 75%에 달했다. 이는 대기업일수록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사고에 대한 리스크가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산업계 역시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한 가장 필요한 기술로 '보안 기술'(34.2%)을 1순위로 꼽았으며, 여전히 공공 부문에서는 보안 인증 및 규제 부담으로 인해 클라우드 도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는 정부가 민간 기업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보안 관련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
|
오늘의 엔레터는 어떠셧나요?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피드백은 큰 도움이 됩니다😃
|
|
|
|